로그인 회원가입
경남대학교 환경측정분석센터
로그인
회원가입하기
아이디찾기
패스워드찾기
경남대학교 환경측정분석센터
아이디
아이디 중복확인
비밀번호
비밀번호 확인
이 름
핸드폰번호
   
이메일주소
회원가입
새소식 받기[선택]
이용약관 동의[필수] 내용보기
개인정보수집 동의[필수] 내용보기
센터소개
센터 개요
센터장 인사말
연구원 소개
시설 및 장비보유현황
찾아오시는 길
사업분야
실내공기질/소음진동 측정
실내환경개선 솔루션
시험분석 의뢰
견적문의
온라인 입금안내
고객센터
공지사항
환경뉴스
자료실
Q&A
일일보고서

사업분야 

    • 센터소개
    • 사업분야
    • 시험분석 의뢰
    • 고객센터
    • 실내공기질/소음진동 측정
    • 실내환경개선 솔루션
    • 실내공기질 관리 필요성
    • 실내공기 관리 및 개선 방안 솔루션

실내공기질 관리 필요성

실내공간은 현대인들의 일과 대부분을 생활하는 공간으로 오염물질 및 발생원이 다양화해지고, 건물 밀폐화에 따른 외기와의 순환이 잘 되지 않아 실내환경의 악화에 의한 불편함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. 실제로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실내공기오염에 의한 사망자가 280만명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바 이제 실내환경도 정기적인 검진과 개선이 반드시 필요합니다. 

- 현대인의 하루 일과 중 90% 이상 실내에서 생활

- 행동반경이 좁고 밀폐된 공간일수록 실외보다 실내공기오염이 심화

- 경제수준 향상 및 다앙한 화학물질의 사용으로 오염물질의 다양화

- 실내공기오염으로 인한 사망자 증가
   (세계보건기구 보고서에 따르면 공기오염으로 인한 사망자수 600만명, 실내공기오염 사망지수 280만명으로 추산)

실내공기질 개선 및
관리의 필요성

- 건물밀폐화에 따른 외기도입량 감소

- 건축자재 및 실내가구의 합성재료 사용증가

- 밀폐된 공간 내에서의 전자기기 사용량 증가

- 오염된 공기의 반복적인 내부 순환에 따른 오염 농축 심화

실내공기 오염의
발생원인




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(월영동, 경남대학교 내) / 대표번호 : 055-249-2773, 055-249-2344 / E-MAIL : alex0907@kyungnam.ac.kr
Copyright ⓒ2019 경남대학교 환경측정분석센터. All right reserved.
ADMIN





실내공기질 오염물질종류와 인체영향
실내공기오염으로 인한 인체 영향은 개인의 건강 및 면역 특성에 따라 다르나 주로 만성감기, 기침, 가래, 코 자극, 호흡곤란, 호흡기 질환, 두통, 눈 자극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
폼알데히드(HCHO)

일산화탄소(CO)

이산화탄소(CO₂)

휘발성 유기화합물 (VOCs)

- 두통, 메스꺼움, 졸음, 현기증,
   방향감각 상실

- 의식을 잃거나 뇌조직 및
   신경계통에 많은 피해

- 성장장애, 반성호흡기질환
   (폐렴, 기관지염, 천식)

- 주로 호흡 및 피부를 통해 인체에 
   흡수

- 호흡곤란, 무기력, 두통, 구토,
   혈액장애, 빈혈 등을 일으킬 수 있음

- 톨루엔, 벤젠, 에틸벤젠, 자일렌,
   스티렌 등

- 주로 호흡 및 피부를 통해 인체에
   흡수

- 눈,코, 목의 자극

- 발암성 물질

- 비교적 독성은 없으니 18% 이상
   일시 생명에 위협

- 호흡에 필요한 산소량 부족

부유미생물(세균 및 곰팡이)

미세먼지(PM)

라돈(Rn)

이산화질소(NO₂)

- 전염성 질환, 알레르기 질환,
   피부 질환, 호흡기 질환, 폐질환,
   기관지 질환, 폐암

- 가려움증, 습진, 피부반점, 무좀 등

- 천식과 같은 만성 호흡기 질환

- 기침, 호흡곤란, 흉부 압박감

- 환경보전의 건강지표

- 인체에 유해한 자극성 냄새가 나는
   적갈색 기체

-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

- 헤모글로빈의 산소운반능력 저하

- 호흡곤란을 수반한 폐수종 염증 
   유발

- 무색, 무취, 무미의 기체

- 폐암발병의 주요 원인물질